카테고리 없음

타브(Tab) 악보

월롱촌닭 2013. 7. 3. 15:06

<일반악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도 미 솔 도  음을

아래 TAB 악보 형태로 옮겨 그려 보면

①----------------------------------
②--T-------------------------1-----
③--------------------O-------------
④--A----------2--------------------
⑤------③--------------------------
⑥--B-------------------------------

도 미 솔 도 가 됩니다. 
그러나 이 악보 역시
처음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서는 좀 당황스러우실 겁니다.

제가 간단하게나마 설명을 드릴께요.


<참고> 1플렛, 2플렛, 3플렛, 등 주욱 나가는게 보이시죠?

1플렛은 첫째칸을, 2플렛은 둘째칸을, 3플랫은 세째칸을  

의미한다는 것은 여러분도 잘 알고 계시죠?

그렇다면 5번줄에 ③이라고 적혀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건 3플렛을 의미하는 겁니다.

몇번 줄에 그려져 있는 가와, 플랫에 해당되는 숫자를 매치시키면

몇번 줄의 몇번 플랫인가를 알 수 있죠?

따라서 5번줄에 3플렛은 <도>음에 해당됩니다. 

이어서 2라는 숫자는 4번줄에 2플렛을 치라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미>음에 해당되구요.

O이란 숫자는 아무것도 누르지 말고 해당되는 줄을 치라는 의미입니다.

이를테면 개방현을 치라는 뜻입니다.

결론은, 3번줄을 그냥 치게 되니 <솔>음을 치게 되겠죠?

 

끝으로 1의 숫자는 2번줄의 1플랫을 누르고 치라는 뜻이니

결론은 <도>음을 치라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계산된 것들을 종합하여 연속적으로 연주하면

<도.미.솔.도>가 됩니다.

이제 이해가 되시죠?

누구나 처음 대할 때는 어렵고 생소하기만 하지만

자주 대하며 많은 연습을 하다 보면 숙달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자, 이번에는 또 색다른 것을 보시죠.

①-----------O----------
②--T--------1----------
③-----------O----------
④--A-------------------
⑤-----------3----------
⑥--B------------------- 
위 TAB 악보를 보시면,
각 줄은 다른 데 같은 플랫에 각기 다른 숫자가 있습니다.

 

이런 것은 
1번선은 O이니깐 개방현을,
2번선은 1플렛을,
3번선은 또 O이니깐 개방현을,
5번선은 3이니깐 3플렛을 동시에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아니? 어떻게 동시에 연주하라는 말이냐?고 물으시는 분이 계시나요?
저걸 전부 동시에 친다는 것인데 

여기에서 친다는 말을 다른 말로는 스트로크 형태가 아닌, 
아르페지오 주법(줄을 잡아당기는 느낌)으로 연주하시라는 말씀입니다.


한가지 더 팁을 드리도록 하지요.

대부분의 타브 악보 밑에는 영어 알파벳이 쓰여져 있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글씨죠.

T i m r m i

T<---thumb의 약자는 T=엄지손가락
i<---index finger 약자는 i=검지손가락
m<---middle finger 약자는 m=중지손가락
r<---ring finger 약자는 r=약지손가락
s<---small finger 약자는 s=새끼손가락

아시겠죠?

s는 새끼손까락을 뜻하며,
클래식에선 보통 엄지부터 P.i.m.a.ch로 표기를 하죠.

이렇게 TAB 악보 밑에 영어가 쓰여져 있을때는
그줄을 해당되는 손가락으로 치라는 말입니다.
통기타에선 검지론 4번, 5번, 6번줄을 치지 않습니까?

그러나 꼭 그렇게 치라는 공식은 없습니다. 
클래식이나 재즈나 공히 상황에 따라 변화도 필요합니다.

너무 타브악보에 의존하는건 좋은습관이 아닙니다.

일반 악보를 많이 읽고 연주하는 습관을 길러 보시길.


E----------------------------- String 1 (1번줄 미)

B----------------------------- String 2 (2번줄 시)

G----------------------------- String 3 (3번줄 솔)

D----------------------------- String 4 (4번줄 레)

A----------------------------- String 5 (5번줄 라)

E----------------------------- String 6 (6번줄 미)



즉 타브악보의 6줄은 위에서부터 1,2,3,4,5,6번줄을 의미하고

그 줄에 걸린 숫자는 프렛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라인 위에 표시된 숫자는 프렛의 위치를 의미합니다.

프렛은 핑거보드(지판)위에 가지런히 놓여진 쇠막대인건 아시죠?



처음엔 이런 형태의 악보가 익숙치 않아서 오선지보다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연습하다가 보면 타브 악보가

기타라는 악기엔 훨씬 편리한 기보방식이란 것을 느끼게 될 겁니다.



밑에 간단한 예를 드리겠습니다.


E----------------------------- String 1

B------4---------------------- String 2

G----------------------------- String 3

D----------------------------- String 4

A----------------------------- String 5

E----------------------------- String 6
(이것은 4프렛에서 2번줄을 튕겨주라는 의미입니다.)


E----------------------------- String 1

B----------------------------- String 2

G----------------------------- String 3

D----------------------------- String 4

A------0---------------------- String 5

E----------------------------- String 6
(0는 5번줄 개방현을 튕기라는 의미)

개방현은 왼손가락으로 지판을 누르지 않고 쳐주는 것을 말하죠..

타브 악보는 기타줄을 그림으로 표시한 악보입니다.

6줄의 선은 6줄의 기타를 표시, 그 안에 숫자들은 프렛을 말합니다.


타브악보 보는법 


타브악보의 6줄은 기타의 6줄을 나타냅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표시된 숫자은 프렛번호를 나타냅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줄 밑에 숫자는 왼손가락 번호를 나타냅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위 악보의 뜻은

5번줄 1프렛을 왼손 1번손가락(집게 손가락) 으로 누르라는 뜻 입니다.

왼손 번호는 엄지 손가락(T) 집게손가락 부터 1~4 번으로 표시합니다.


왼손가락 번호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르페지오(Arpeggio)


아르페지오는 분산화음이란 뜻 입니다.

스트로크는 화음을 동시에 연주하는 반면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스트로크



아르페지오는 화음을 나누어서 연주합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기타 오른손 핑거링



오른손 핑거링 자세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기타 오른손 핑거링



 

엄지손가락(T)은 대부분 6.5.4번줄들을 연주합니다 해당코드의 루트에 위치합니다.

집게 손가락은 3번줄

가운뎃 손가락은 2번줄

약손가락은 1번줄 위에 올려놓습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기타 오른손 핑거링

 

엄지손가락이 꺽인 방향주목


엄지 손가락을 제일 앞에 두고 연주하면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사운드를 얻을수 있습니다.


아르페지오에서 코드체인지


아르페지오는 보통 처음에 코드의 루트를 연주하고 뒤에 화음을 연주합니다..

스트로크는 동시에 화음이 들려야 좋기때문에 한번에 코드를 바꾸는 연습을 했다면

아르페지오에서는 먼저 연주하는 음과 나중에 연주하는 음들이 있기 때문에 먼저연주해야 되는 음을 먼저 눌러주는 방식으로 좀더 여유있게 코드체인지를 할수 있습니다.


G / C 코드 반복으로 스트로크할때와 아르페지오로 연주할때 코드체인지가 어떤식으로 진행되는지 확인해 봅시다.




8비트 아르페지오 리듬패턴


이젠 많이 익숙한 코드진행 G / D / Em / C 의 코드진행으로 아르페지오 패턴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코드가 바뀔때는 코드의 루트를 연주하고 있다


코드,루트,기타에서 음들의 위치에 대한 기본개념을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2012/12/13 - [통기타 배우기/1차무료레슨] - [통기타 기초배우기]10강 기초화성학,코드기초이론, F코드 연습


2012/12/14 - [통기타 배우기/1차무료레슨] - [통기타 기초배우기] 11강 하이코드(바레코드,바코드)-2&CAGED 시스템 

 





영상에서 보는것처럼 엄지손가락으로 4 ~ 6 번줄의 루트를 연주하고 집게손가락부터 약손가락은 각 줄에 고정시켜 놓고 연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의 악보는 타브 악보대신 간단히 숫자로만 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 악보를 숫자로 표기하게 되면


R  3  2  3  1  3  2  3 


이렇게 표기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R은 코드의 루트를 의미하고 숫자들은 기타줄을 의미합니다.


nocking on heavens door 의 코드진행으로 2박자에서 아르페지오 패턴, 두줄이상 연주하는  패턴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이처럼 두줄이상 동시에 연주할수도 있습니다.


숫자로 간단히 표기하면



R  3  1  3  R  3  1  3  R  3  1  3  1  3  1  3

         2              2               2      2      2      



피크로 아르페지오를 연주할때는


보통 뒤에 연주해야될 줄이 밑에줄이면 다운 위에줄이면 업 피킹으로 연주합니다.


타브악보 보는법,타브악보 6줄,통기타 기초배우기,기타악보,tab,아르페지오,arpeggio



위 악보에서 연주 순서는 6번줄 3프렛 > 3번줄 개방현 > 2번줄 개방현 순으로 연주 하게 됩니다.

처음 6번줄 3프렛은 다음에 연주해야 될 3번줄 개방현이 밑에 줄 이기때문에 다운피킹 합니다.

다음 3번줄 개방현도 다음 연주해야될 줄이 2번줄 개방현이 밑에 줄 이기때문에 다운피킹 합니다.

다음 2번줄 개방현은 다음 연주해야될 줄이 3번줄 개방현이 위에 줄 이기때문에 업피킹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킹하는 것을 이코노미 피킹이라 합니다.


이제까지 배웠던 곡들을 아르페지오 패턴으로 연주해 봅시다!

 


다운&업기호

 


이표시는 다운표시입니다.기타를 연주할때 아래로 디리링 하고 내려 치는겁니다.

한줄만 칠때는 그냥 한번만 피크를 아래로 내리듯이 치면 되는거죠.

이표시는 업표시입니다.다운표시와는 다르게 반대로 위로 올려 치는겁니다.


 

타브악보의 형태

 

타브악보는 기타의 모양을 그대로 악보로 옮겨 놓은 것입니다.

다음 이미지에서 보면 위에 있는 그림은 일반적인 오선악보이고  TAB라고 표시되어 있는 악보가 타브악보입니다.

기타의 6현을  눕혀놓아 그대로 악보로 옮겨 놓았습니다.

지금 그림은 개방현(줄을 잡지 않은 상태)를 그림으로 표시 해드렸습니다.

위에 오선지 악보는 타브악보의 계명을 표시 해드린겁니다.

맨아랫줄이  "미"음 기타의 6번줄에 해당합니다.맨윗줄이 높은"미" 기타의 1번줄에 해당 하겠죠.


 


계명읽어보기

여기서 하나더 설명 해드릴께 있습니다.

타브악보에 보면 숫자들이 보이죠?

그건 프렛수를 말하는 겁니다.3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3프렛 0이라고 써있으면 개방현입니다.

계명을 읽어 볼까요?

도는 5번줄의 3프렛을 누루고 음을 냅니다.레는 4번줄의 개방현 상태에서 음을 냅니다.

미는 4번줄의 2프렛을 누루고 음을 냅니다.파는 4번줄의 3프렛을 누룬 상태에서 음을 냅니다.

이렇게 해서 쭉 치면 되는 겁니다.

 

잠깐만!

혹시나 해서 도레미파솔라시도 에서 미,파 그리고 시,도 음이 반음이라는건 아시죠?

기타프렛은 프렛 두개가 온음이고 프렛 하나가 반음입니다.

그래서 아래 그림을 보시면 미.파 사이가 2프렛에서 한프렛 올려서 3프렛의 음을 내는겁니다.

 

 

업다운 연습하기

다음 그림은 업다운 연습 해보시라고 기타주법의 기본 주법들을 몇개 그림으로 올려 드립니다.

다음번에는 음표 보는 법등 좀더 자세하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PS-설명이 부족하다 싶으시면 언제든지 덧글로 질문해 주세요.